W6 | 가설을 통해 번개페이의 강점을 강화하자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주제: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가볍게 시작하기
지금까지 번개페이의 MVP, UX개선/개발 및 성장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번개페이가 갖고 있는 강점에 대해 데이터를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번개페이의 강점은 무엇일까?
번개장터의 안전거래 서비스인 '번개페이'는 판매대금을 판매자가 아닌 번개장터에 입금하기 때문에 구매자는 믿고 거래 할 수있다는 특징이 있다. 거래가 완료되면 번개장터에서 보관하고 있던 판매 대금을 다시 판매자에게 넘겨주게 된다. 또한 모든 상품에서 4번의 터치로 번개페이 결제가 완료가 되니 번개페이의 강점은 쉬운 빠른 UX라고 할 수 있다.
번개페이의 강점인 '쉬운 빠른 UX'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어떤 지표와 데이터를 확인하면 좋을까?
해당 기능과 관련한 대표적인 지표로 2가지를 선정했다. 구매하기까지 걸리는 시간과 번개페이 설정후 전환율을 살펴보겠다.
1. 구매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1.1 번개페이 미지원과 지원 상품
구매까지 걸리는 시간 = (번개페이 지원와 미지원 비교)상품 설명부터 결제완료까지 걸리는 시간
- 시간의 시작을 '상품 목록'이 아니 '상품 설명'인 이유는 상품을 클릭할때 제품의 수요, 공급과 가격의 변수가 있기에 제외시켰다.
번개페이의 강점으로 뽑은 쉽고 빠른 UX는 상품목록들을 보면 알 수 있다. 번개페이의 아이콘이 붙어 있는 상품들이 그렇지 않은것보다 눈에 잘보이는것을 알수있다. 또한 번개페이 아이콘이 붙어 있는 상품은 '구매자가 상품을 받아보고 구매확정을 누르기 전까지 돈이 안전하게 번개장터에 보관되어 있는것이기에 판매자의 신뢰를 판단할때 리뷰, 별점, 신고이력과 판매내역등을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사기로부터 안전하다는것을 알수있다'. 따라서 구매자가 번개페이 미지원 상품보다 지원 상품을 더욱더 짧은 시간안에 구매를 결정할거라 생각한다.
2. 번개페이 설정후 전환율(CVR)
번개페이 설정후 전환율 = 설정후 번개페이 상품 클릭수 / 번개페이 설정 클릭 수 * 100
번개장터는 번개페이 상품만 보고 싶은 고객을 위해 '안전결제 페이' 설정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지표를 알아야 번개페이를 원하는 고객들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이기에 선정하였다. 번개페이 설정 클릭율만으로는 번개페이를 원하는 고객이라 칭하기에는 데이터가 부족한 면이 있어, 번개페이 설정을 클릭한후 상품목록에 뜨는 번개페이 지원 상품을 클릭하는데까지 완료한 고객으로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번개페이 설정을 1000명이 보았고 30명이 실제로 설정을 누른 후 상품을 클릭했다면, CVR은 3%가 됩니다.
위에서 정한 지표들을 강화하기 위해 발견할 수 있는 가설은 무엇이며, 어떻게 검증할 수 있을까?
가설 1)
번개페이를 사용해본 유저들에게 메인화면에서 추천상품들을 번개페이를 지원하는 상품들로 배치를 한다면, '추천상품'을 통한 구매 전환율이 올라갈 것이다.
현재 번개페이는 랜딩페이지인 홈화면에서 각 고객에 맞는 추천상품을 보여주고있다. 지표1에서 말한 번개페이의 더 빠른 결제 경험을 가진 고객들은 적은 에너지로 상품을 구매하는데 좋은 UX를 느껴 번개페이 재사용률이 높을 거라 생각한다. 따라서, 번개페이를 사용한적있는 고객들의 추천상품에는 번개페이를 지원하는 상품들로 구성하면 '추천 상품'을 통한 구매 전환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검증 방법 1)
최근 30일간에 번개페이를 이용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A/B테스트를 진행한다. 번개페이를 사용해본 절반의 고객들에게는 추천상품에 번개페이를 지원하는 상품들로 구성하고, 다른 절반의 고객들에게는 현재와 같이 번개페이 지원과 미지원 상품을 추천상품 목록에 보여준다. 그렇다면, 추천상품 목록에서 번개페이 상품을 구매하는 전환율을 측정할 수 있다.
가설 2)
번개페이 설정 버튼을 상단 고정 CTA로 해둔다면, 유저의 번개페이 클릭율이 높아질 것이다.
검증방법 2)
번개페이 상품만을 보이게하는 버튼이 고객에게 많이 노출될수록 누르게될 가능성이 높아져간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스크롤을 아래로 ㄴ내리게 되면 '안전결제 페이' 설정 버튼이 안보이게 되는 환경에서 맨 상단에 고정 CTA로 바꿈으로서 노출 빈도수를 높혔다.
최근 번개장터를 이용한 고객들 대상으로 1주일간 A/B테스트를 진행하는데, 한쪽은 현재의 환경을 제공하고 다른 한쪽은 고정 CTA가 들어간 환경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번개페이 설정 클릭율과 번개페이 설정 전환율을 분석하여 해당 가설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