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6D3 | 스타링크의 비즈니스는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서사소 2022. 6. 17. 17:41
Starlink
SpaceX is developing a low latency, broadband internet system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cross the globe. Enabled by a constellation of low Earth orbit satellites, Starlink will provide fast, reliable internet to populations with little or no connecti
www.starlink.com
Starlink 스타링크
'위험을 무릅쓰고 포착한 기회를 사업화하려는 모험과 도전의 정신'인 기업가정신을 좋아하는 나로서 일론 머스크의 사업들은 너무나 매력적이다. 오늘 그의 사업중 하나인 스페이스 X의 스타링크에 대해 분석해보겠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 지구 저궤도 소형 위성을 통해, 전 세계 어디든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다. 작년 말 40만명 이상 가입자를 확보했으며, 현재까지 쏘아 올린 위성은 2천500개가량이다. CNBC는 스타링크 서비스 매출이 연간 5억달러(약 6천275억원)를 웃돌 것으로 보고 있다.
스타링크의 서비스 유형
해당 서비스는 6개의 서비스 유형 중 어느것에 해당하나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유형 1. 전자상거래
- 유형 2. SaaS(주문형 소프트웨어)
- 유형 3. 무료 모바일 앱
- 유형 4. 미디어 사이트
- 유형 5. 유저 컨텐츠 서비스
- 유형 6. 마켓 플레이스
스타링크는 B2C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유형을 가지고 있다. 기업과 소비지간의 전자상거래로 현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이다. 사전적으로는 기업이 전자적 매체를 통신망과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재화나 용역을 거래하는 행위로 초기에는 물리적인 제품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디지털 상품을 비록하여 그 거래 물품 영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스타링크는 단순한 B2C의 서비스 유형을 가지고 있는데, 스타링크 안테나등이 포함된 키트를 599달러, 월 서비스 비용 110달러를 지불하면 전 세계 어디든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타링크의 현재 사업 단계
해당 서비스는 사업 단계 기준(공감 - 흡인력 - 바이럴 - 매출 - 확장)으로 어떤 제품 단계를 지나고 있나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스타링크의 행보를 보면 바이럴 단계에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바이럴 효과는 기존의 '전염된' 사용자들이 새 사용자들에게 메세지를 퍼뜨리는 것을 말합니다. 입소문으로 홍보를 한다면, 친구를 초대하는 'Referral program'이 있어야 하는게 기본적인데 스타링크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그럼 스타링크는 어떻게 바이럴 마케팅을 하고 있는가? 바로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와 행동이다.
머스크는 트위터에서 현재 9800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WSJ의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머스크는 거의 10년 만인 2020년 10월 4000만 팔로워를 획득했는데, 이후 1년 4개월 만인 이달 다시 4000만 팔로워를 추가했다.
트위터 상에는 머스크의 답변을 요청하는 이용자들의 트윗이 하루에도 수천개씩 쏟아진다. 그 중 머스크의 관심을 끄는 트윗은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WSJ는 전했다. 2009년 6월 이후 머스크는 5700개의 트윗에 답글을 달았는데, 이 가운데 4분의 1은 ‘테슬라의 소셜 미디어 군단’으로 불리는 열성 팬들이 운영하는 계정 20여개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일론머스크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스타링크의 가능성을 트위터를 통해 전세계에 보여줬다.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일론 머스크에게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를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우크라이나는 전쟁으로 통신 시설이 파괴돼 일부 지역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스타링크 서비스 지역이 아니었지만, 머스크는 바로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또 우크라이나로 스타링크 15,000대를 보냈으며 이는 모두 898만 달러로 우리 돈 112억 원 정도입니다.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스타링크를 중심으로 한 스타링크가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스타링크의 사업 전략
해당 서비스가 전 단계에서 어떤 사업 전략을 썼을지 생각 해봅니다. 그리고 실제로 어떤 전략을 세웠는지 찾아봅니다. 본인이 세운 가설과 실제 전략이 다르다면, 왜 다른지 한 번 생각해보고 설명해 봅니다.
스타링크가 '흡입력'단계를 어떻게 돌파했는지 찾아보겠다.
스타링크의 수요는 확실했다. 현재 인터넷이 연결안되는 지역에 사는 인구가 37억명이다, 지구 절반의 인구가 인터넷을 사용 못하고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남극, 북극과 사막 한가운데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조차 인터넷 망이 들어오지 못하는곳은 많았다.
물론 스타링크가 37억명 모두가 사용할수있는 서비스는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가격이다. 스타링크의 월 이용요금은 99달러(약 11만 원)이다. 속도는 크게 다를 수 있지만 일반 사용자는 초당 50~150메가비트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속도를 얻으려면, 정지 위성을 운영하는 비아샛(Viasat)과 같은 기존의 위성 인터넷 회사들에는 이 금액의 두 배를 지불해야 함으로 그들에 비해 꽤 좋은 가격인 셈이다.
스타링크 서비스 이용에 있어 가장 큰 부담이 될 수 있는 것은 선불 비용이다. 위성 접시와 와이파이 라우터 등의 장비 가격이 무려 499달러(약 56만 원)에 달하고, 이들 장비는 고객들에게 손해를 보며 판매되고 있다. 스페이스X 설립자 일론 머스크는 예전에 이 비용을 250달러(약 28만 원) 정도까지 인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비용의 인하 시기 및 가능 여부는 확실치 않다. 전 세계 농촌 지역에 사는 많은 거주자들에게는 이는 너무 비싼 가격이다.
따라서 기기값 499달러와 매월 99달러를 지불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이 '흡입력'단계 스타링크의 타겟 고객이였다.
스타링크 베타 서비스 이용자의 이야기를 밑에 첨부를 했으니, 읽어보기를 바란다.
앨런 우드워드(Alan Woodward)는 영국 남서부 지방의 한 시골에 산다.
우드워드는 인근에 다리 둘 달린 생물보다 다리 넷 달린 생물이 더 많다고 농담을 한다. 그는 영국 서리대학교(University of Surrey)의 컴퓨터 공학 교수이며, 주로 사이버 보안과 정보 통신, 컴퓨터 포렌식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에게는 좋은 인터넷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해결 방도를 찾지 못했다.
“내가 참여해왔던 소위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한다는 사업계획은 늘 많았다.” 우드워드는 말한다. “그러나 매번 성사가 안 됐다. 항상 일이 틀어지고 만다. 광섬유 케이블을 이 집까지 연결해올 수 있을까? 어림도 없다. 케이블 연결에 대한 견적조차 내주지 않을 것이다. 어떡하면 좋을지 정말 막막했다.” 그는 대용량 파일을 동료에게 전송해야 할 때 웹을 사용하기보다 차라리 USB 메모리 스틱을 우편으로 보내는 편이 더 낫다고 농담을 한다.
그러나 7월 말 스타링크(Starlink) 덕분에 그의 상황이 바뀌었다. 우드워드는 스페이스X(SpaceX) 인터넷 서비스의 베타 사용자가 되었다. 스타링크는 지구 궤도를 도는 1,600개 이상의 군집위성을 이용하여 지상에 있는 사람들에게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7월 말 현재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이용자가 약 90,000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우드워드는 “처음 몇 주 만에 스타링크의 광팬이 되었다”고 말한다.
“나처럼 산간벽지에 사는 사람들에게 스타링크는 뜻밖의 행운일 것이다”라고 우드워드는 덧붙인다.
그러나 스타링크는 외딴 곳에 사는 사이버보안 교수에게 인터넷을 연결시켜주기 위해서 고안된 것만은 아니었다. 스페이스X는 더 큰 포부를 밝혀왔다. 스페이스X는 현재 인터넷 연결이 전혀 되지 않는 지역에 사는 37억 인구의 대다수에게 초고속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 문제를 모바일폰 연결만으로 해결하는데, 이는 그 자체로 값비싼 예비 수단일 뿐이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1기가비트의 데이터 비용이 월 평균 임금의 40%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스타링크의 기기값과 월 비용을 지불할수 있는 여력이 되는 고객이 초기 타겟층이된다는 전략이 맞았다.
스타링크는 22년 3월 25만명을 넘고, 현재 6월 기준 40만명의 고객을 가지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중에 있다.
++
한국에는 2023년 서비스 예정이다.
참고자료
위성인터넷 스타링크는 어떻게 작동할까
지구 저궤도를 도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군집 위성 모습. NASA 제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5일째이던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 개발자 올레그 쿠트코브(Oleg Kutkov)는사회관계망서비스(SNS)
m.dongascience.com:443
머스크 "스타링크, 2025년 이후 상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운영하는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 스타링크가 2025년 이후 상장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일론 머스크는 올해 스타...
zdnet.co.kr
일론 머스크 '스타링크' 가격 인상
일론 머스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의 가격이 인상된다.22일(현지시간) 더버지에 따르면, 스타링크가 키트 구매 비용과 월간 서비스 가격을 올렸다...
zdnet.co.kr
우크라이나 돕는 머스크 ‘스타링크’…15,000대 지원
러시아의 침공으로 고통받고 있는 우크라이나에서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스타...
news.kbs.co.kr
스타링크는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일까? - MIT Technology Review
저궤도 위성 붐은 초고속 인터넷 사용에 어려움을 겪어온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킬 것이다. 단,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 말이다.
www.technologyreview.kr
Starlink
SpaceX is developing a low latency, broadband internet system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cross the globe. Enabled by a constellation of low Earth orbit satellites, Starlink will provide fast, reliable internet to populations with little or no connecti
www.starlink.com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 Daily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7D2 | 모바일 앱에도 종류가 있다?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3 |
|---|---|
| W7D1 | 테슬라 홈페이지를 통해 알아보는 프론트엔드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2 |
| W6D2 | Google Analytics로 트위터의 핵심 지표 분석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16 |
| W6D1 | 트위터의 Flow Chart와 DB, 서버, 클라이언트, UI 작동 예상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15 |
| 처음 써보는 5주차 짧은 회고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14 |
- W2D3
- OKR
- ux
- 나의 가이드
- 동기부여
- Laws of UX
- 밸류맵
- 타다 금지법
- 번개페이
- 개선할점
- 비비노
- PM 부트캠프
-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 인생은 필나이트처럼
- PM부트캠프
- 타다: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초상
- 타다
- 로플리
- 아직 없음
- 이재웅 대표 화이팅
- 타다 반대법
- lawfully
- 인생독본
- 붉은 깃발법
- 한국 스타트업
- Wine searcher
- 코드스테이츠
- 타다 화이팅
- 호갱노노
- vivino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